실제로 비트코인 샀던 사람도 가격이 어디까지 오를지 몰라 여기가 고점이라 생각되서 파는 경우가 많은데요.

에미넴, 닥터드레 와 같이 유명했던 미국의 힙합, 랩퍼 50센트(본명 : 커티스 제임스 잭슨 3세)가 존버왕에 등극했는데요.





미국 뉴욕 퀸즈 근처 할렘가에서 범죄 저지르다가 

에미넴과 닥터드레에게 발탁되서 최고의 가수가 되었던 그지만, 

2015년 야동(섹스 테입)을 유출하여 피해를 입어 약 56억원,

 5백만 달라를 배상하라고 했던 판결 때문에 찌질한(?) 파산신청을 하게 되었던 것...

돈자랑 하는 걸로 유명한 50센트 체면 확 구겼다가...


붕쉰같이 자기가 2014년에 앨범을 비트코인으로 팔았던 것을

 까먹고 있다가 지금에서야 비트코인이 남아있다는 것을 알게됨...


2014년 시장가격 보면 1coin당 

400~1000 USD(최대100만원ㅋㅋㅋ) 사이였음..ㄷㄷㄷ

계속 까먹고 있던 거임...

당시 벌여 들었던 700 bitcoin 지금은 천만원 되서

돌아와서 74억~90억 규모로 추정됨...ㅋㅋㅋㅋㅋㅋ


관종 스럽게 어제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관련 기사를 올리며

'내가 자랑스럽다' 라며 게시물을 올렸던...

미국 최고 힙찔이에서 블록체인화폐 최고 존버왕이 되신 50cent !!


정부 관료들의 부정적인 비트코인 

등의 블록화폐, 거래소 폐쇄 등의 부정적인 발언으로

화폐의 가치가 30%에서 많게 는 50%까지도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100조 가까이가 증발했다고 하는데요.


우리기술투자 라는 가상화폐 관련주로

 상기 난리통에 주가가 같이 떨어졌는데요.


문제는 1월 11일 하한가에 국가기금이 

매수한 흔적이 보였다는 겁니다.

이후 1월 15일 보란듯이 장마감에 고점에서 

전량 다 털고 나가는 내부정보를 이용한 

투기가 의심되는 정황이 잡혔습니다.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국민이 낸 세금으로 도박을 하고, 

내부정보를 이용한 차익을 국가가 주도해서 챙겼다고 

맹렬히 비난하고 있습니다. 

국가 관료 장관들의 문제일까?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의 문제일까?

 아니면 없는 사실을 침소봉대해서 

과장하는 기자들이 문제인 걸까?


어쨌든 팩트는 국가, 지자체는 비트코인 관련주가 

부정적인 정부태도로 하한가를 치고 있을 때 대량 구매한 정황이 포착 되었으며,

다시 좋은 기사가 나올 때 고점에 전량 매도한 흔적이 있습니다.

이후에 가상화폐에 대한 폐쇄까지 언급 되면서 

코인들이 역대 최저가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 

1월 16일 현재의 모습입니다.


거품이 서서히 꺼지는 것이고, 

가상화폐 거래소는 종국에는 

폐쇄를 할 것이다라며 이야기 하면서

기득권들의 부동산 투기에 대해서는 입을 닫고 있는 모습이

씁쓸한 요즈음입니다.


금융기관 같은데는 불나방같은 가즈아 님들이 잘 모를거 같으니 잘 알만한곳으로 비교해볼게요

코인 순위는 1월6안 기준이구요.


1위 비트코인 2870억 USD  

   -> 코카콜라(1954억 USD) + 메르세데스 벤츠(909억 USD)


2위 리플 1258억 USD  

   -> 나이키(1020억 USD) + 허쉬 초콜릿 (239억 USD)


3위 이더리움 1085억 USD

  -> 자라 (1086억 USD)


4위 비트코인캐쉬 (499억 USD)

  -> 포드 (496억 USD)


5위 카르다노 또는 에이다 (261억 USD)

  -> 네이버 (268억 USD)


8위 스텔라 (121억 USD)

  -> 넥슨 (128억 USD)


10위 트론 (108억 USD)

  -> AMD (110억 USD)



전 세계 IT 기업 시가총액 


1등 애플 (8688억 USD)

2등 구글 (7291억 USD)

3등 MS (6599억 USD)

4등 아마존 (5635억 USD)

5등 페이스북 (5127억 USD)

6등 텐센트 (4936억 USD)

7등 알리바바 (4416억 USD)

8등 삼성전자 (3435억 USD)

9등 인텔 (2160억 USD)

10등 TSMC (2010억 USD)


지금 코인들 다 개발 단계다. 로드맵 100% 끝낸 놈 없는것 아시죠?

결과물도 다 안나온 놈들 시총이 저런 글로벌 대기업 시총과 맞먹는 다는건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도 코인 가격이 오를거라고 보지만

말도 안되는 가격 목표 설정은 금물입니다.

우선 20억 이상이 갑자기 생기면 국세청에 신고가 되며,

갑작스럽게 생긴 큰 돈에 대한 소명을 해야 합니다.
불로소득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않았기에
작게는 1~2억 크게는 4~5억까지도
세금으로 내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세청 상당히 주도면밀합니다.
그리고 건물 짓는 거 무시무시한 일입니다.
10~20년은 공부하고 준비하고 해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너무 쉽게 건물을 지을려고 하죠.
주변에도 그냥 쉽게 건물 지으면 되지 했던 분들 중
많은 분들이 신불자가 되고. 빛쟁이가 되었습니다.

당신이 좋은 땅을 가지고 있을 때,
그것을 사기꾼들이 뺏는 가장 쉬운 방법은 건물을 신축하도록 구슬리는 겁니다.
동시에 당신이 도급계약서 쓸때 유의점을 포함해서 지식이 없고,
사람을 잘 믿고, 누군가에게 의지하고픈 마음으로
건물을 지어서 부자가 되겠다고 하는 생각이 있다면

당신은 완벽한 사기꾼들의 먹이감입니다. 

건물을 지어본 분들은 제 말을 이해할 것이지만
건축을 업으로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한 번 이상 지어본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지금도 어리한 건축희망자가 땅을 가지고
그 세계로 진입하기를 들개들이 침흘리며 배에 꼬로록 소리 내며
기다리고 있습니다.

소규모 건물 중 70% 이상이 동네 목수!!가 짓는다고 합니다.

그럼 지어진 건물 하나 사면 된다구요!?
도급계약서 쓸 때 유의점을 아십니까?
건물을 관리해보셨습니까?
그래서 상가건물의 수익율 및 관리시 유의점을 아십니까?
건축 자금 뿐만 아니라 기타 운용자금까지 충분하다 판단하십니까?
제일 위험한 것이 대출로 건물 짓는 일입니다.

위에 중에 한 가지라도 부족한 분이시라면
그 분을 채운 후에

공부한 후

준비한 후

건물을 사거나 지으십시오. 세상 호락호락 하지 않습니다!!



리플 호재 세계적인 금융회사 3사, 2018년 리플 사용계획


Even more in the pipeline.


Over the last few months 

I’ve spoken with ACTUAL banks and payment providers.

 They are indeed planning to use xRapid (our XRP liquidity product) in a serious way. 

This is a sampling of what I heard:



상위 5 개 글로벌 송금 회사 중 3 곳은 2018 년에 지불 흐름에 XRP를 사용할 계획입니다.

파이프 라인이 훨씬 더.


지난 몇 개월 동안

저는 ACTUAL 은행 및 지불 제공자와 통화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xRapid (XRP 유동성 제품)를 진지하게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것은 내가 들었던 샘플입니다.


3 of the top 5 global money transfer companies plan to use XRP in payment flows in 2018.



우리은행, 신한은행, 리플을 이용한 일본과의 국제 송금 시스템 구축


SBI 리플 아시아가 주최한 일본 은행 61개 연합체인 일본 은행 컨소시엄은 총 시가총액이 30 달러 이상인 우리은행과 신한은행과의 새로운 리플 파일럿 프로그램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계획은 리플넷을 통해 일본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최초의 사업입니다.

 

은행, 지불 시스템 현대화

일본 은행 컨소시엄은 참여 일본 은행과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간의 거래를 해결하기 위해 리플의 결제 기술인 엑스커런트를 사용할 것입니다.

이 파일럿 프로그램은 일본 은행 협회가 한국을 일본의 3대 교역 파트너로서 지불 시스템을 현대화하려는 의지를 확고히하며, 중개인의 필요성을 없애고 글로벌 결제 비용을 절감하게 할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일본 은행 컨소시엄은 가상화폐 및 블록체인 워킹 그룹을 만들어 XRP와 같은 디지털 화폐의 제도적 활용 사례를 연구하여 이러한 국경 간 결제에 대한 주문형 유동성을 확보하였습니다.

 

국제 송금을 위해 필요한 솔루션 제공

일본 은행 컨소시엄의 은행은 리플과 함께 전세계에서 국제 지불 비용 문제로 금융 산업, 기업 및 소비자를 괴롭히는 수조 달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많은 기관 중 하나입니다.

“일본 은행 컨소시엄의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파일럿 프로그램이 국제간 송금에 보다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리플의 파트너인 에미 요시카와는 말했습니다.

“리플넷을 사용하여 국가 간 지불을 통해 금융 기관이 현대적인 지불 경험을 제공하고 인터넷 가치를 실현할 준비가 되었음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비트코인은 거품이다 라면서 

공언한 최흥식 금감원장이

규제 관련 대대적 발표를 한 시점으로

만 하루가 지났는데요.


도박장도 소득에 세금을 낸다며

도박장과 가상화폐 거래소를 도박장과 같다라고

말을 해 논란이 된 적이 있습니다.

=?????


최 원장은 송년 기자간담회에

가상화폐를 과세하기는 하지만

제도권 편입은 아니다라면서 모순적인 말을 했습니다.

어떤 연예인의 말처럼 술을 마셨지만

음주운전은 하지 않았다와 비슷해보이는 모습에 많이 씁쓸한데요...


"초반 IT버블 2000년에 버블이 꺼지면서

페이스북 같이 유형의 형태가

남은 것들은 살아남고 형태가 없는 주식회사, 기업들은 다 죽었다"면서

"형태가 없는 비트코인은 거품처럼

버블이 확 빠질 것이다라고 내기를 해도 좋다"(?) 라고 말한 바가 있습니다. 



실제로 1995년부터 2000년 초 까지

우리나라 인터넷 관련 분야가 성장하면서

닷컴만 붙으면 매일 상한가를 가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 시절에 여러 주식들과 비트코인은 같다고 말하는 것과 같은데요.



하지만 페이스북은 닷컴버블이 꺼지고도

한참 후인 2004년에 서비스를 시작 했다는 점에서 

최 원장의 말은 사실관계를 의심하는 네티즌들이 많은 것이 사실.


그 뿐만 아니라 최 원장은 본인 명의와 배우자 명의로

17억원의 논현동 다가구 주택 한채, 10억원 다세대주택 한채를 보유하고 있다.

7억원의 임대보증금을 채무로 신고, 자기 돈은 2억 8천만원만

들여 구입한 '갭 투자'로 사들여 더욱 논란을 가중 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배우자 명의의 1억9천만원 상가, 1억2천만원 상가도 가지고 있어,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투기 원인으로 보는 '다주택자' 중에

한 명이 아니냐라는 날카로운 지적이 쏟아졌다.


상기 포스팅은 인터넷신문을 참고하여 생각을 정리해서 작성했습니다.

사실관계에 대해 여러분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문재인 정부가 드디어 암호화폐를 뿌리 뽑기위해 칼을 들었다.


특별대책 발표에는 크게 4가지인데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 전환, 은행 가상계좌 서비스 중단, 암호화폐 거래소 직권 조사, 법무부, 거래소 폐쇄 특별법 제정 이다.

그 이유는 비상식적인 묻지마 투기로 과열되고 있는 것을 방치 할 수 없다는 것이 청와대의 입장이다.


암호화폐에 있어 본인 확인이 곤란한 현행 방식의 가상계좌 활용은 금지. 그 이유는 가상계좌 이용시 실명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가상계좌가 아닌 본인이 확인된 거래자의 일반계좌와 암호화폐 취급업자 은행 계좌가 동일해야 입출금을 허용한다는 것이 골자다.

청소년이나 외국인 거래가 제한 된다는 것이 필요하여 실명제를 한다는 말이 있지만, 결국 세금을 매기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라는 것이 관련 전문가의 말이다. 즉 계좌번호 외에 주민 번호 비교까지 해서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로 전환 한다는 뜻!! 하이고마


이미거래하고 있는 가상계좌를 당장 폐쇄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내년 1월 중 모두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토록 이야기 했으며,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자료:금융위원회 

출처 : 금융위원회


거래소 폐쇄 의견은 거래소 요건을 총족 하지 못했을 때 폐쇄 한다는 것인지 투기 과열 우려 되기 때문에 모든 거래소를 막을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법무부가 의제로 회의에서 제의 되었던 만큼 가능성은 모두가 있다고 관계자는 말하고 있다.

알트코인 단타, 요즘 핫한 코인은 알트코인 그리고 아인이죠.


변동폭이 너무 심해서, 초단타의 개념으로 잡으면 될 것 같아요.


비트는 3천을 찍을 것 같습니다. 찍고나서는 계속 하락하여 천 밑으로 까지 내려갈 것 같군요.


거품은 쉽게 꺼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정도 상승폭이면 3천은 찍습니다.


항상 원금보전하시구요. high risk high return이지만 역설적으로 안전하게 조금 먹을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 Recent posts